온프레미스 뜻, 장단점 및 클라우드 차이 6가지 알아보기





클라우드 인프라가 적합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기업이 고려해야 할 많은 요소가 있으며, 클라우드로 실행하지 못해 대신 검증된 레거시 및 온프레미스에 의존하여 업무를 수행하는 회사가 많이 있습니다. 따라서 오늘은 온프레미스 뜻, 클라우드 차이 및 장단점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온프레미스 뜻

온프레미스(On premise)는 기업이 자체적으로 서버를 보유하고, 이를 전산실이나 사무실 내 등 자신의 공간에서 직접 설치 및 운영하는 방식이며, 클라우드 컴퓨팅이 등장하기 전까지 일반적인 기업 인프라 구축 방식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아직까지 많은 기업들이 온프레미스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온프레미스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온프레미스(On premise) 뜻, 장단점 및 클라우드 차이점

온프레미스 특징

1) 보안성 강화

기업이 데이터를 직접 관리하므로, 외부 침입 및 해킹으로부터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으며, 온프레미스는 기업의 데이터가 외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의 서버에 저장되지 않고, 기업의 자체 서버에 저장되기에 보안성이 강화됩니다.

2) 제어권 강화

기업이 자체적으로 시스템을 관리하므로, 시스템의 운영 방식과 정책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며, 온프리미스는 기업이 자체 IT 인력을 통해서 시스템을 관리하기 때문에, 시스템의 운영 방식과 정책을 기업의 요구 사항에 맞게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3) 맞춤형 서비스

기업의 특성에 맞게 시스템을 맞춤형으로 구축할 수 있으며, 기업의 특성에 따라 서버의 사양, 운영체제, 소프트웨어 등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기업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온프레미스 장단점

장점

1) 기업의 데이터가 외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의 서버에 저장되지 않고, 기업의 자체 서버에 저장되기 때문에 보안성이 강화되고, 기업은 자체 보안 정책을 수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시스템을 관리함으로써 보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2) 기업이 자체 IT 인력을 통해 시스템을 관리하기 때문에, 시스템의 운영 방식이고 정책을 기업의 요구 사항에 맞게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기업은 시스템의 성능, 안정성, 보안 등을 고려하여 시스템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3) 기업의 특성에 따라 서버의 사양,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 등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기업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맞춤형 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기업은 특수한 업무 환경에 맞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단점

1) 기업이 자체적으로 IT 자원을 구입해야 하므로, 초기 비용이 많이 들 수 있으며, 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 등 IT 자원의 금액은 고가이며, 유지보수 비용도 추가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기업이 자체 IT 인력을 통해 시스템을 유지 및 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운영 비용이 발생하며, 운영 비용에는 IT 인력의 인건비, 교육비, 장비 유지보수 비용 등이 포함됩니다.

3) 시스템을 변경하거나 확장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걸리고 비용이 들 수 있습니다. 새로운 시스템을 도입하거나 기존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구입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온프레미스, 클라우드 차이점 

기업이 IT 인프라를 구축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하는 기업이 자체적으로 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 등 IT 자원을 구입하여 기업 내에서 구축 및 운영하는 온프레미스 방식이 있고, 다른 하나는 기업이 필요로 하는 IT자원을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 형태로 제공받는 클라우드 방식입니다.

온프레미스 뜻, 장단점 및 클라우드 차이 6가지 알아보기

 클라우드 컴퓨팅 더 알아보기

1) 자산 소유권

온프레미스 – 기업이 자체적으로 IT 자원을 구입하여 소유

클라우드 – 기업이 필요로 하는 IT 자원을 서비스 제공업체로부터 임대하여 사용

2) 서비스 형태

온프레미스 – 기입이 자체적으로 IT 인프라를 구축 및 운영

클라우드 – 기업이 필요로 하는 IT 자원을 서비스 형태로 제공받음

3) 비용

온프레미스 – 초기 비용 부담이 크지만, 운영 비용이 비교적 적음

클라우드 – 초기비용이 적게 들지만, 사용량에 따라 비용이 증가

4) 보안

온프레미스 – 기업이 자체적으로 데이터 보안을 책임지고 있음

클라우드 – 서비스 제공업체가 데이터 보안에 대한 일부 책임을 지지만, 기업도 데이터 보안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있음

5) 제어권

온프레미스 – 기업이 IT 인프라의 운영 방식과 정책을 완전히 제어

클라우드 – 서비스 제공 업체가 IT 인프라의 일부 운영 방식과 정책을 제어

6) 유연성

온프레미스 – 시스템을 변경하거나 확장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걸리고 비용이 들 수 있음

클라우드 – 변경하거나 확장하기가 비교적 쉽고 빠름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 어떤 방식을 해야 할까?

온프레미스

온프레미스는 보안성이 뛰어나고, 기업의 요구 사항에 맞는 맞춤형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기업의 IT 인프라를 장기적으로 안정적으로 운영하고자 하는 기업에도 적합합니다.

클라우드

클라우드는 초기 비용이 적게 들고, 유연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으며, IT 인프라 관리에 많은 비용과 시간을 투자하기 어려운 기업이나, 쁘르게 변화하는 비즈니스 환경에 대응해야 하는 기업에도 적합합니다.

마무리 요약

온프레미스는 기업이 자체적으로 서버를 보유하고, 이를 전산실이나 사무실 안 자신의 공간에서 직접 설치 및 운영하는 방식을 말하며,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 각각의 장단점이 있으므로, 기업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방식을 선택을 해야 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

error: 우클릭 할 수 없습니다.